이번 면접 전형에 응시한 학생들 중 20%가 기존 대학에서 휴학 중이거나 졸업한 학생들이었습니다. 이들이 웹툰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다시 돌아와 SWA의 교육을 받고자 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죠. 특히 그들은 기존 대학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웹툰 전문 교육을 받고 싶다는 강한 의지를 면접 과정에서 드러냈습니다. 이는 우리가 추구하는 실질적이고 특화된 웹툰 교육이 학생들에게 중요한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SWA가 가진 교육의 차별성과 강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SWA는 웹툰 관련 기업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교육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어요. 저희는 다양한 만화 및 웹툰 관련 제작사들과 협력하여 학생들이 현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있죠. 작화, 스토리텔링 등 세부 영역에서 전문가의 멘토링을 받으며 실력을 쌓는 것이 SWA 교육의 강점입니다. 이로 인해, 졸업생들이실제로 작가, PD 등으로 취업하거나 데뷔하는 케이스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교육의 실질적인 성과가 눈에 보이니, 저희 입장에서도 매우 보람 있는 일이죠. SWA의 국제 협력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세요 국제 협력은 일본부터 시작했습니다. 일본의 웹툰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데, 저희는 영화배급사 ‘도호쿠신샤’, 공중파 방송인 ‘후지TV’,일본에서 웹툰 플랫폼 메차코믹을 운영하는 ‘아무타스’와 같은 회사가 참여하는 단기 연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일본 현지에서 단기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고요. 프랑스와도 협력 중입니다. 파리에 위치한 ‘오토그라프(AUTOGRAF)’ 학교와 MOU를 체결하여 내년부터 학생들이 프랑스로 가서 단기 교육을 받고, 프랑스 학생들도 저희 학교에 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준비 중입니다. 특히 프랑스 대사관에서도 웹툰 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글로벌 웹툰 썸머 캠프를 제안했어요. 이 캠프는 프랑스나 일본 등에서 웹툰을 배우고 싶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교육 교류의 장으로 만들어보려 합니다. 국내에서도 공공 교육을 통해 많은 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계신다고요? 네, 서울경제진흥원(SBA)과 협력하여 웹툰 작가를 위한 교육 과정도 운영하고 있어요. 작가로서 첫걸음을 떼고 싶은 분들뿐만 아니라, 작품의 후속작을 준비하는 분들까지 다루고 있죠. 최근 서울시에서 주최한 글로벌 창작위크에 참여해 다양한 창작자들에게 글로벌 멘토링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성동구 성동문화재단과는 어린이 웹툰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어요. 저희 학생들이 직접 어린이들에게 웹툰을 가르치는 활동을 통해 교육의 사회적 책임도 다하고 있죠. 졸업 작품이 플랫폼에 직접 투고될 예정이라 들었는데 이번에 웹툰 플랫폼과 협력하여 SWA 졸업생들의 작품을 플랫폼에 바로 투고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졸업 작품이 플랫폼을 통해 검토되고, 좋은 작품은 바로 연재로 이어질 수도 있게끔 한 거죠. 이는 저희의 교육이 단순히 학문적 성과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데뷔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사실 이런 구조를 한국의 웹툰 교육에서 최초로 시도하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이를 통해 더 많은 학생이 실제 작가로 데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SWA의 수업은 매 학기 진행되는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테크니컬 트랙이 병행된다. 프로젝트는 6시간으로 구성된 SWA 커리큘럼의 핵심 수업이다. 프로젝트 수업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웹툰 작가가 멘토로 출강한다. 프로젝트 1개 반은 15명 이하로 편성되어 일대일 멘토링이 가능하도록 운영된다. 멘티는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공지된 멘토를 1~3지망까지 선택해 프로젝트 신청서를 제출한다. 지난 학기 출석률과 프로젝트 멘토의 평가, 과제전 제출 여부 등을 종합해 멘토와 멘티가 매칭된다.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멘토는 멘티의 능력과 요구에 맞춰 개별상담을 통해 프로젝트를 지도한다. 프로젝트 수업은 SWA의 교육운영전략인 멘토링 교육, 프로젝트 기반 학습,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형학습으로 진행된다. 프로젝트 수업은 1, 2학기는 탐색 프로젝트, 3, 4학기는 발전 프로젝트로 운영된다. 5, 6학기는 실무 프로젝트로 운영되며 6학기가 끝나고 최종 포트폴리오북을 제작하고, 졸업전시에 참여한다. ※SWA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sawa.co.kr에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